아기가 새벽에 깨는 이유 밤에 통잠을 재울 수 있는 방법

아기는 모든 것이 미숙한 존재 통잠을 자기엔 혼자선 무리입니다

수면 교육을 통해 잠을 잘자는 아기

아기가 새벽에 깨는 이유 여러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주중에 충분히 놀지 않아 피로감이 쌓이지 않았거나, 낮잠을 너무 길게 오랫동안 자거나, 아예 낮잠을 자지 않을 경우엔 아기가 밤에 통잠을 자지 않고 뜬눈으로 밤을 지샐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기는 아직 모든 것이 미숙한 존재이기 때문에 혼자서 잠을 어떻게 자는지 더 나아가 수면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릅니다.

그래서 잠이 온다는 감정이란 것이 무엇인지 모르고 불쾌감을 느끼고 새벽 내내 울며 밤을 지새우는 경우가 많아요. 거기에 있어 우리 소중한 초보 어머니 아버지들은 제대로 잠을 자지도 못하고 아버지는 피곤한채로 출근 어머니는 피곤한채로 육퇴도 못하게 되어 하루하루가 신경질적으로 변하게 되는 경우도 많죠.

그래서, 오늘은 아기가 새벽에 깨는 이유를 세세하게 알아보고 아이가 밤에 통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세세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기가 새벽에 깨는이유 5가지

  • 낮에 충분한 낮잠을 자지 않는 경우 또는 낮에 과도하게 낮잠을 자는 경우
  • 분유텀이 불규칙해서 밤에 배가 너무 고파지는 경우
  • 기저귀에 변소를 많이 봐서 찝찝한 경우
  • 어머니 아버지에게만 의존하여 자는 경우
  • 낮에 충분히 놀지 않는 경우

위와 같은 이유로 아이는 대게 통잠을 자지 않고 밤에 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낮에 낮잠을 자지 않거나 분유텀이 불규칙할 경우엔 하루 이틀을 넘어 지속적으로 새벽에 깨어 통잠을 자지 않아 우리 부모님들의 육아퇴근을 늦추는 길이니, 최대한 신경을 써서 규칙적인 분유텀과 간식, 이유식 등을 지켜주세요.

아이가 낮잠을 너무 많이 자버린 경우

낮잠을 오랫동안 자고 있는 아기

아기는 아직 미숙한 존재이기 때문에 언제 일어나는게 좋고, 언제 자는게 좋은지 잘모릅니다. 그래서, 주중에 너무 과도하게 놀이를 하여 피곤해질 경우 낮에 통잠을 자는 경우도 생기죠, 보통 낮잠은 30분~1시간정도 자는게 좋은데, 너무 피곤해서 3시간 4시간 동안 낮잠을 잘 경우엔 낮에 충분히 자두어 밤에는 되려 잠이 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는 부모님들이 분유텀과 하루 일과를 맞춰서 1시간정도 지나면 아이를 깨워 같이 있어 주는게 좋은데.. 육아 퇴근을 제때 하지 못한 피곤한 부모님들 같은 경우엔 자기도 모르게 아이랑 같이 낮에 통잠을 자게 되어 깨워 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죠. 많이 피곤하신 것은 알지만 되도록 알람을 맞추어 아이와 같이 1시간 이상 낮잠을 자지 않도록 해주는게 좋아요.

낮잠을 너무 과도하게 많이 자버리면 분유텀도 깨지게 되고 하루가 짧아져 미쳐 하지 못했던 육아를 밤에 할 수 있게 되요. 예를 들어 목욕이라던가, 놀이, 눈맞추며 교감하기 등등

아기가 낮잠을 아예 자지 않는 경우

낮잠을 자지 않고 이불을 가지고 놀고 있는 아기

아기가 아예 낮잠을 자지 않는 경우에도 새벽에 잠을 자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성인들은 낮잠을 자지 않고 밤에 통잠을 자게 되는데 이것은 우리에겐 익숙하고 너무 쉽게 할 수 있는 수면이라는 행동이, 아기에겐 익숙하지 않고 어떻게 하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기가 잠을 잔다는 행위에 대해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 낮잠을 재우는 것입니다.그리고 피로하다는 감정과 눈이 스르르 감긴다는 느낌을 거부감이 아닌 자연스러운 감정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대에도 한 몫을 하죠.

또 부모님들이 알아야할 점이 낮잠을 자면 더 자고 싶다는 감정을 알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너무 일찍 눈을 떠서 아직 출근시간도 아니고 그 짧은 시간동안 더 쉴 수 있어서 더 자고 싶다는 감정을 느껴보시는 분들 계시나요?

그 때 어때요? 잠을 자고 싶다는 생각을 안하더라도 자연스럽게 멍때리다보면 5분도 안되서 잠을 자게 되는 자신을 볼 수 있게 되죠. 이와 마찬가지로 아기도 낮잠을 통해 졸리다는 감정을 알게 되고, 시간이 지나 밤이 되면 알아서 스르르 잠을 자게 되는 아기를 볼 수 있게 됩니다.

분유텀이 불규칙해서 자는 도중 배가 너무 고파 깨는 경우

분유텀을 제대로 지키는 것 또한 통잠을 재울 수 있는 방법입니다. 수면훈련, 수면교육에서도 중요하게 강조하는 것이 아기가 부족하지 않게 느끼게 수유를 해주는 것이 통잠을 재울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아기가 입맛이 없어서 오전부터 계속 분유를 거부해서 얼마 먹이지 못하다가 오후쯤 되어서 적정량을 먹어도 계속 배고프다고 우는 아기도 있는데, 이게 분유텀이 깨진 것입니다.

이게 지속이 되면 자는 도중 중간중간마다 배가고파서 깨게 되고 아기는 밥을 달라고 울게 됩니다. 최대한 분유텀 시간을 지키기는게 좋으며, 최소한의 수유량을 정하는게 좋습니다. 하루 3시간 텀 180미리를 먹이는 경우라면 최소한 140미리 이상은 분유 시간마다 먹여주는게 좋다는 말이죠.

아기의 생활을 기록하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아기가 밤에 통잠을 잘 수 있게 도와주는 방법은 아기의 생활을 기록하여 최대한 규칙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요즘엔 어플도 잘되어 있어서 굳이 공책 같은 곳에 기록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기록이 가능하며 최대한 아이의 생활을 규칙적으로 지켜줄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주는게 좋아요.

결국 육아 퇴근을 일찍하고 아기가 통잠을 잘 자게 되어 부모님들의 피로감도 줄어들고 아기도 건강하게 잘자랄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드는게 중요하며 거기에 있어 필요한 것은 우리 아기가 하루를 어떻게 보네는지 체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력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새벽에 깨지 않고 통잠을 자면서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힘내봅시다!!

답글 남기기